Holistic review와 Personal brand의 상관 관계
미국 대학원의 Holistic review와 지원자의 Personal brand 구축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대학원은 다양성을 무엇보다도 중요한 가치로 고려합니다. 지원자를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하고 종합적인 시각에서 그들을 이해하는 Holistic review를 통해 합격자를 선발합니다. 이 과정에서 학업 성과만이 아니라 창의성, 리더십, 인간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자의 능력과 가치를 평가합니다.
Personal brand는 사람들이 지원자를 볼 때 어떻게 인식하는 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자신이 어떤 면에서 독특하고 가치 있는 인재인지, 어떤 사람으로서 보여지고 싶은 지, 자신이 가진 전문성이 어떤 것인지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 대학원에 지원할 때 지원자는 자신의 Personal brand가 Admission committee에게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더불어 학문 및 사회적으로 다른 지원자들이 갖고 있지 않은 독특한 점과 차별성을 강조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Personal brand 구축 방법
첫째, Admission committee에게 자신이 어떤 지원자로 비춰지고 싶은 지 신중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지원하는 학교와 학과 프로그램이 가진 가치와 목표에 일치하는 지도 살핍니다. 예를 들어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의 Oceanography 학과의 경우 아래와 같은 가치를 홈페이지에 표방하고 있습니다.
UNDERSTANDING AND PROTECTING THE PLANET SINCE 1903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at UC San Dieg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enters for global earth science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world. Scripps scientists work to understand and protect the planet by investigating our oceans, Earth, and atmosphere to find solutions to our greatest environmental challenges. Scripps leads research in climate change impacts and adaptation, resilience to hazards, conservation and biodiversity, oceans and human health, national security, and innovative technology to observe the planet.
지구 및 대기를 조사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음으로써 지구를 이해하고 보호하는 데 가치를 두고 있는 이 학과의 지원을 위해 지원자의 personal brand는 지속 가능한 열정과 연구, 지구 및 해양에 대한 열정, 기후 변화 관찰과 기술 혁신, 대중 교육과 협업, 문제 해결 능력과 적응성 등으로 구축되는 것이 학과와의 적합성, 즉 fitness면에서 도움이 될 것입니다.
둘째, 관련 학계와 업계 동향과 뉴스, 핵심 연구자와 기업인 등에 대해서 꾸준히 파악하고 지식을 축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연구나 경험을 통해 전문성을 입증하고 이를 보여줄 수 있는 개인 웹사이트나 소셜 미디어를 운영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신의 의견과 지식을 적극적으로 나누고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은 오피니언 리더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과 동시에 전문가로서의 인식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강연 및 워크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역시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전문가로서의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셋째, 지원하려는 학교/학과에 부합하는 자신의 목표와 가치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일관성 있게 personal brand의 특성을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연구자로 성장하고 싶다”라는 목표와 “환경 문제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연구를 통해 현대적이고 융합적인 해결책을 찾아 변화를 이끌어내겠다"라는 가치를 설정했다면 개인 웹사이트/소셜 미디어 프로필의 콘텐츠와 대학원 지원에서 아래처럼 일관된 키워드와 관련 구문을 유지하는 것이 Personal brand 메시지 전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키워드 지속 가능성, 환경 보호, 현대적 연구, 융합적 해결책, 효과적인 변화
구문 "나의 연구는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환경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융합적 해결책을 찾기 위해 현대적 연구 방법을 도입하고, 효과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키워드 협력, 다양성, 국제적 관점
구문 "대학원에서는 국제적인 연구 환경에서 협력하며,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 아이디어를 융합하여 문제에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하고자 합니다."
Personal brand와 대학원 지원 서류들
지원자의 Personal brand는 원서, Resume/CV, Statement of purpose/Personal history statement, 추천서, Video essay/Interview등 다양한 지원 요소 등을 통해 보여지고 종합적으로 고려됩니다. 그중 Personal history statement는 지원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가치를 강조하는 성격이 강하기에 personal brand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전문성과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는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의 원서에는 Additional Educational Experience라는 제목으로 Optional short answer question이 있습니다.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diversity is a core component of excellence that further enhances our quality and achievement. We seek a diverse graduate student body to ensure that all of our students gain the educational benefits that result from being exposed to a broad spectrum of idea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We wish to broaden and deepen both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scholarly environment, as students and faculty learn to interact effectively with each other, preparing them to participate in an increasingly complex and pluralistic society. We also want all of our students to contribute to the campus community in a manner that enhances campus diversity and inclusiveness, consistent with the University of California’s Principles of Community.
지원자는 Leadership, Overcoming Adversity, Community Involvement, Social Justice Experience, Personal or Professional Ethics, Research, Other (e.g., any other kind of experience or information that you feel will help add to creating a diverse spectrum of idea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라는 7가지 항목에 자신의 personal brand 구축에 쓰였던 활동들을 예시로 적어서 합리적이고 일관된 지원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지원자의 고유한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Admission committee에 긍정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추천서의 경우에도 추천인에게 요청 시 자신의 personal brand과 일치하는 경험과 특성을 강조하는 지침을 제공해서 추천서에서도 일관성 있는 메시지를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평소 교수님 또는 동료들과의 네트워킹과 소통을 통해 자신의 Personal brand을 강화하시기 바랍니다. 그들로부터의 피드백은 필요한 경우 자신의 브랜드 메시지를 보완하거나 개선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기타 Video essay를 통한 자기 소개나 Interview에서도 Personal brand과 일치하는 이야기를 전달해서 일관성 있는 인상을 남기도록 합니다.
미국 대학원 입학 경쟁은 해마다 치열해지고 있고 특히 상위 학교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학문, 리더십, 창의성 등에서 지원자의 독특하고 일관된 가치가 반영되어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Personal brand를 구축하시기 바랍니다. 지원자의 전문 분야에서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함으로 Admission committee의 눈길을 끌고 효과적인 의사 전달력을 돋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PHS와 추천서 등을 통해 노력과 성과를 드러냄으로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도록 합니다. 강력한 Personal brand를 갖는 것은 많은 경쟁자 사이에서 지원자를 더 돋보이게 만들 수 있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유학 칼럼 ‘미국 대학원 어드미션과 퍼스널 브랜드'는 LAB ZINE VOL.11 78~85 페이지에 실려 있습니다.
LAB ZINE은 POSTECH,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GIST, DGIST, UNIST 등 총 9개교가 연합하여 발간하는 이공계 대학원 소식지로 연구 분야 소개, 기업 및 연구소 소개, 인터뷰, 문화 칼럼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담아 연간 4회 분기 별로 배포됩니다.
Holistic review와 Personal brand의 상관 관계
미국 대학원의 Holistic review와 지원자의 Personal brand 구축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대학원은 다양성을 무엇보다도 중요한 가치로 고려합니다. 지원자를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하고 종합적인 시각에서 그들을 이해하는 Holistic review를 통해 합격자를 선발합니다. 이 과정에서 학업 성과만이 아니라 창의성, 리더십, 인간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자의 능력과 가치를 평가합니다.
Personal brand는 사람들이 지원자를 볼 때 어떻게 인식하는 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자신이 어떤 면에서 독특하고 가치 있는 인재인지, 어떤 사람으로서 보여지고 싶은 지, 자신이 가진 전문성이 어떤 것인지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표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 대학원에 지원할 때 지원자는 자신의 Personal brand가 Admission committee에게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더불어 학문 및 사회적으로 다른 지원자들이 갖고 있지 않은 독특한 점과 차별성을 강조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Personal brand 구축 방법
첫째, Admission committee에게 자신이 어떤 지원자로 비춰지고 싶은 지 신중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지원하는 학교와 학과 프로그램이 가진 가치와 목표에 일치하는 지도 살핍니다. 예를 들어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의 Oceanography 학과의 경우 아래와 같은 가치를 홈페이지에 표방하고 있습니다.
UNDERSTANDING AND PROTECTING THE PLANET SINCE 1903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at UC San Dieg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enters for global earth science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world. Scripps scientists work to understand and protect the planet by investigating our oceans, Earth, and atmosphere to find solutions to our greatest environmental challenges. Scripps leads research in climate change impacts and adaptation, resilience to hazards, conservation and biodiversity, oceans and human health, national security, and innovative technology to observe the planet.
지구 및 대기를 조사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음으로써 지구를 이해하고 보호하는 데 가치를 두고 있는 이 학과의 지원을 위해 지원자의 personal brand는 지속 가능한 열정과 연구, 지구 및 해양에 대한 열정, 기후 변화 관찰과 기술 혁신, 대중 교육과 협업, 문제 해결 능력과 적응성 등으로 구축되는 것이 학과와의 적합성, 즉 fitness면에서 도움이 될 것입니다.
둘째, 관련 학계와 업계 동향과 뉴스, 핵심 연구자와 기업인 등에 대해서 꾸준히 파악하고 지식을 축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연구나 경험을 통해 전문성을 입증하고 이를 보여줄 수 있는 개인 웹사이트나 소셜 미디어를 운영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신의 의견과 지식을 적극적으로 나누고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은 오피니언 리더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과 동시에 전문가로서의 인식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강연 및 워크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역시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전문가로서의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셋째, 지원하려는 학교/학과에 부합하는 자신의 목표와 가치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일관성 있게 personal brand의 특성을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연구자로 성장하고 싶다”라는 목표와 “환경 문제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연구를 통해 현대적이고 융합적인 해결책을 찾아 변화를 이끌어내겠다"라는 가치를 설정했다면 개인 웹사이트/소셜 미디어 프로필의 콘텐츠와 대학원 지원에서 아래처럼 일관된 키워드와 관련 구문을 유지하는 것이 Personal brand 메시지 전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키워드 지속 가능성, 환경 보호, 현대적 연구, 융합적 해결책, 효과적인 변화
구문 "나의 연구는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환경 보호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융합적 해결책을 찾기 위해 현대적 연구 방법을 도입하고, 효과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키워드 협력, 다양성, 국제적 관점
구문 "대학원에서는 국제적인 연구 환경에서 협력하며,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 아이디어를 융합하여 문제에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하고자 합니다."
Personal brand와 대학원 지원 서류들
지원자의 Personal brand는 원서, Resume/CV, Statement of purpose/Personal history statement, 추천서, Video essay/Interview등 다양한 지원 요소 등을 통해 보여지고 종합적으로 고려됩니다. 그중 Personal history statement는 지원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가치를 강조하는 성격이 강하기에 personal brand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전문성과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는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의 원서에는 Additional Educational Experience라는 제목으로 Optional short answer question이 있습니다.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diversity is a core component of excellence that further enhances our quality and achievement. We seek a diverse graduate student body to ensure that all of our students gain the educational benefits that result from being exposed to a broad spectrum of idea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We wish to broaden and deepen both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scholarly environment, as students and faculty learn to interact effectively with each other, preparing them to participate in an increasingly complex and pluralistic society. We also want all of our students to contribute to the campus community in a manner that enhances campus diversity and inclusiveness, consistent with the University of California’s Principles of Community.
지원자는 Leadership, Overcoming Adversity, Community Involvement, Social Justice Experience, Personal or Professional Ethics, Research, Other (e.g., any other kind of experience or information that you feel will help add to creating a diverse spectrum of idea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라는 7가지 항목에 자신의 personal brand 구축에 쓰였던 활동들을 예시로 적어서 합리적이고 일관된 지원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지원자의 고유한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Admission committee에 긍정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추천서의 경우에도 추천인에게 요청 시 자신의 personal brand과 일치하는 경험과 특성을 강조하는 지침을 제공해서 추천서에서도 일관성 있는 메시지를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평소 교수님 또는 동료들과의 네트워킹과 소통을 통해 자신의 Personal brand을 강화하시기 바랍니다. 그들로부터의 피드백은 필요한 경우 자신의 브랜드 메시지를 보완하거나 개선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기타 Video essay를 통한 자기 소개나 Interview에서도 Personal brand과 일치하는 이야기를 전달해서 일관성 있는 인상을 남기도록 합니다.
미국 대학원 입학 경쟁은 해마다 치열해지고 있고 특히 상위 학교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학문, 리더십, 창의성 등에서 지원자의 독특하고 일관된 가치가 반영되어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Personal brand를 구축하시기 바랍니다. 지원자의 전문 분야에서의 지식과 경험을 공유함으로 Admission committee의 눈길을 끌고 효과적인 의사 전달력을 돋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PHS와 추천서 등을 통해 노력과 성과를 드러냄으로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도록 합니다. 강력한 Personal brand를 갖는 것은 많은 경쟁자 사이에서 지원자를 더 돋보이게 만들 수 있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유학 칼럼 ‘미국 대학원 어드미션과 퍼스널 브랜드'는 LAB ZINE VOL.11 78~85 페이지에 실려 있습니다.
LAB ZINE은 POSTECH,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GIST, DGIST, UNIST 등 총 9개교가 연합하여 발간하는 이공계 대학원 소식지로 연구 분야 소개, 기업 및 연구소 소개, 인터뷰, 문화 칼럼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담아 연간 4회 분기 별로 배포됩니다.